Skip to content

yhlee002/StockManagement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11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개발 환경

  • JDK : Java 11
  • DB : Docker를 통해 Mysql 서버를 구축해 사용

동시성 처리

동시성이란

동시에 다수의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접근해 이를 변경하려하면 Race Condition(경쟁 상태)이 발생하게 된다.

동시성 처리 방안

1) Java의 synchronized 키워드 사용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이 한 공유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키워드이다.

🔥 문제점 🔥 : synchronized 키워드를 통해 스레드의 동시성 처리가 가능하나, 이는 단일 서버일 때에 국한된다. 서버 인스턴스가 여러 대가 되게 되면 synchronized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Service
public class StockService {
    public synchronized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 해당 id의 물건 재고(Stock) 수량(quantity)을 주어진 수량만큼 감소시킨다.
    }
}

Cf. 주의할 점

@Transactional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트랜잭션의 동작 원리 때문이다.

Spring에서는 @Transactional을 붙이면 해당 메서드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CRUD 기능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어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트랜잭션은 기본적으로 전체가 성공적으로 종료됐을 때만 그 결과가 적용된다.

트랜잭션을 사용하게 되면 트랜잭션 기능을 포함한 프록시 객체가 새로 생성되어 이 것이 실행된다. (만들어지는 형태를 임의로 구현한 것이 transaction.TransactionStockService이다.)

프록시 객체란? 원래 객체를 감싸고 있는 객체로, 기존의 객체를 감싸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해준다.

import com.yh.stockmanagement.service.StockService;

public class TransactionStockService {

    private StockService stockService;

    public TransactionStockService(StockService stockService) {
        this.stockService = stockService;
    }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artTransaction();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
        endTransaction();
    }

    public void startTransaction() {

    }

    public void endTransaction() {

    }
}

Spring에서의 Transaction 동작 원리

위의 코드와 같이 새로운 클래스가 생성되어서 이 인스턴스의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가 호출이된다.

decrease 메서드가 호출이되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startTransaction()) stockServicedecrease 메서드을 호출하는데 이 것이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트랜잭션이 종료된다. (endTransaction())

이러한 클래스의 형태로 실행되는 트랜잭션의 문제는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가 실행되고 나서 트랜잭션을 종료하는 시점에 실제 DB의 테이블에 해당 값을 업데이트하는데,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트랜잭션을 종류하기 전에 또 다른 스레드가 여기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DB(MySQL 기준)을 이용

(1) Optimistic Lock(낙관적 락)

Lock을 걸지 않고 문제가 발생할 때 처리한다. 대표적으로 version 등의 버전 관리 컬럼을 만들어서 업데이트시마다 버전을 올리고, 버전이 안맞는 업데이트는 수행하지 않게끔하는 방법이 있다.

트랜잭션을 사용하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애플리케이션 단계에서 처리한다.

애플리케이션 단계에서 처리한다는 것은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야기한다.

  • 버전이 안맞아 처리가 되지 않을 때 이를 다시 처리해주어야 한다.
  •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처리가 하나의 메서드에서 수행된다고 했을 때 하나의 데이터 처리가 오류가 났을 경우 이를 롤백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또 다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오류가 잦은 경우에는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 오류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 쓰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 Cf. source code - OptimisticLockFacade.java는 OptimisticLockService 버전이 안맞아 업데이트하지 못했을 경우 업데이트 성공시까지 반복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실패하는 경우를 대비한 코드)

(2) Pessimistic Lock(exclusive lock, 비관적 락)

DB 차원에서 사용하는 락 기능이다. 다른 트랜잭션이 특정 row 의 Lock 을 얻는 것을 방지한다.

  • 다른 트랜잭션이 특정 row 의 Lock 을 얻는것을 방지한다.
    • A 트랜잭션이 끝날때까지 기다렸다가 B 트랜잭션이 Lock 을 획득한다.
  • 특정 row 를 update 하거나 delete 할 수 있다.
  • 일반 select 는 별다른 Lock 이 없기때문에 조회는 가능하다.
  • 참고로, Spring JPA에서는 @Lock을 이용해 쉽게 락을 설정할 수 있다.(LockModeTypePESSIMISTIC_WRITE 혹은 PESSIMISTIC_READ 가능)
public class PessimisticLockStockService extends JpaRepository<Stock, Long> {
  @Lock(LockModeType.PESSIMISTIC_WRITE)
  @Query("select s from Stock s where s.id = :id")
  Stock findByIdWithPessimisticLock(Long id);
}

(3) named Lock

이름과 함께 Lock(상태)를 획득한다. 해당 Lock은 다른 세션에서 획득 및 해제가 불가능하다.

  • 이름을 가진 MetaData Lock이다.
  • 주로 분산락을 구현할 때 사용된다. Pessimistic Lock이 Timeout을 구현하기 힘든 데에 반해서, Named Lock은 매우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 이 외에 데이터 삽입 시에 정합성을 맞춰야 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이름을 가진 Lock을 획득한 후 이것이 해제될 때까지 다른 세션은 이를 가질 수 없다.
  • 주의할 점은 트랜잭션이 종료될 떄 Lock이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로직으로 해제해주거나 선점시간이 지나야 해제된다. - 이를 구현하는 데에 신경써야 한다.
  • MySQL에서는 get_lock으로 획득, release라는 명령으로 해제 가능하다.
  • 다른 Lock들이 접근하는 테이블에 Lock을 걸지만, Named Lock은 별도의 공간에 Lock을 건다.
  • Cf. 주요 로직 수행 전후로 get_lock, release를 수행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NamedLockStockFacade(StockService의 decrease 전후로 락을 get/release하는 역할 수행
@Component
public class NamedLockStockFacade { 
  // 생략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try{
      lockRepository.getLock(id.toString());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
    } finally {
      lockRepository.releaseLock(id.toString());
    }
  }
}

// StockService.java
@Service
public class StockService {
  // 생략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public synchronized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stock.decrease(quantity);
    stockRepository.saveAndFlush(stock);
  }
}

3) Redis의 라이브러리(Lettuce, Redisson) 사용

Cf. Redis를 사용하여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라이브러리로는 Lettuce와 Redisson이 존재한다.

  • 재시도가 필요하지 않은 Lock은 Lettuce를, 재시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Redisson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1) Lettuce

setnx 명령어로 분산락 구현

  • Cf. setnx는 "set if not exist"의 줄임말로, key-value set 시에 기존의 값이 없을 때만 'set'하는 명령어이다.
  • setnx 명렁어의 동작 방식은 spin lock 방식이다. 때문에 retry-logic을 개발자가 작성해야 한다.
  • Cf. spin lock 방식이란, 락을 획득했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여 획득했을 때에 본 로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 spin lock 방식이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스레드가 Lock 획득 대기 상태라면 Redis에 부하가 갈 수 있다.
  • MySQL의 NamedLock과 유사하나, 다른 점은 Redis를 사용한다는 점과 세션관리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 Redis를 docker container로 실행하는 경우에는 docker exec -it [CONTAINER ID] redis-cli 명령어를 통해 Redis CLI를 실행하고, setnx 1 lock 명령어를 통해 key가 1인 Lock을 설정하고, 이를 지우기 위해서는 del 1을 사용할 수 있다.
  • 'spring-data-starter-redis'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Lettuce를 사용하게 된다.

(2) Redisson

pub-sub 기반으로 Lock 구현 제공(Redis의 부하 감소)

  • 채널을 하나 만들고, Lock을 점유중인 스레드가 해당 채널을 통해 대기중인 스레드에게 해제를 알려주면, 알림을 받은 스레드가 Lock 획득 시도를 하는 방식이다.
  • Lock 획득 재시도를 기본으로 제공한다.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별도의 retry-logic을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 (해당 프로젝트의 경우 'redisson-spring-boot-starter' 사용)
  • Cf. Redis CLI를 통해 하나의 채널을 만들어 해당 채널에 메세지를 전달하는 테스트 가능하다.
    • 두 개의 터미널 세션을 열어 둘 다 Redis CLI를 실행하고, 하나의 세션에는 subscribe ch1 명령어를 통해 'ch1'이라는 이름의 채널을 구독하고, 다른 세션에서는 publish ch1 testmess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testmessage'라는 내용의 메세지를 보낼 수 있다.
  • Lettuce와 비교해서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과 보다 복잡하게 구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About

동시성이슈 해결방법에 대한 학습 내용

Topics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